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40

소설의 시점, 고전소설의 시점에 대해 알아보기 시점이란 소설에서 이야기를 서술해 나가는 방식이나 관점을 말합니다. 시점은 서술자의 위치와 서술자가 인물의 내면 심리에 대해 얼마나 아는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인칭 주인공 시점 · 서술자가 작품 안에 주인공 '나'로 등장하여 자신의 이야기를 함 · 독자에게 신뢰와 친근감을 주며 주인공의 내면세계를 제시하는 데 효과적임 · '나'의 주관적인 시선에 의해 서술되기 때문에 '나' 이외의 등장인물들을 이해하는 데 제약이 따름 1인칭 관찰자 시점 · 서술자가 작품 안에 '나'로 등장하여 관찰자의 입장에서 주인공에 대하여 이야기를 함 ·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지만, '나'의 눈에 비친 세계만 볼 수 있어 관찰의 기회가 한정적임 3인칭 관찰자 시점 · 작품 밖의 서술자가 등장인물들의.. 2023. 11. 17.
2024학년도 수시 논술전형 대학별 논술고사 일정 알아보기 2024학년도 대입 수시 논술전형의 대학별 논술고사 일정을 정리했습니다. 논술고사일 인문 자연 9.23 (토) 연세대 연세대, 성신여대 9.24 (일) 성신여대 - 10.7 (토) - 서울시립대, 홍익대 10.8 (일) 가톨릭대, 홍익대 가톨릭대 11.5 (일) 서경대 서경대 수능 : 11.16 (목) 11.18 (토) 건국대, 경희대(인문,체육), 단국대(죽전), 서울여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숭실대, 한국항공대 건국대, 경희대, 서강대, 서울여대, 수원대, 숙명여대, 숭실대, 한국항공대 11.19 (일) 경희대(사회), 동국대, 서강대, 수원대, 숙명여대 가톨릭대(의예,약학), 경희대, 단국대, 동국대, 성균관대, 홍익대(세종) 11.20 (월) 삼육대 삼육대, 서울과기대 11.22 (수) 경기대,.. 2023. 11. 15.
고전소설의 배경 알아보기 소설에서 배경이란 작품 속 사건이 일어나는 시간과 공간, 사회·역사적인 환경을 말하는 것으로 소설의 분위기 조성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한편 고전 소설에서의 배경은 현대 소설과 달리 몇 가지 전형적인 특징을 보입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소설 배경의 기능과 종류에 대해 알아 보고, 고전 소설의 배경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소설 배경의 기능 · 주제의 효과적인 표현에 기여함 · 작품이나 장면의 분위기를 조성함 · 인물의 심리와 사건 전개 방향을 암시함 · 인물과 사건의 신빙성을 높이고 사실성을 부여함 2. 소설 배경의 종류 1) 자연적 배경 · 인물이 활동하는 물리적 환경으로 사건이 진행되는 구체적인 시간과 장소를 가리킴. · 시간적배경, 공간적배경으로 나뉨. 2) 사회적 배경 · 인물이 살.. 2023. 11. 15.
가톨릭대 2024학년도 정시전형 모집인원 수능성적활용지표 수능성적반영방법 알아보기 가톨릭대 2024학년도 정시전형에서 655명을 선발합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가톨릭대 정시전형의 모집단위별 모집인원, 수능 성적반영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모집인원 계열 모집단위 가군 나군 다군 인문 사회 인문계열 38 - - 어문계열 - - 65 사회과학계열 50 - - 특수교육과 12 - - 경영계열 - - 41 국제·법정경계열 - 64 - 자연 과학 자연과학계열 - - 39 생활과학계열 - 52 - 의생명과학과 17 - - 공학 ICT공학계열 - - 62 바이오융합공학계열 - - 52 인공지능학과 14 - - 데이터사이언스학과 - 12 - 바이오메디컬소프트웨어학과 - - 10 자연 과학 약학과 10 - - 의예과 37 - - 간호학과(인문) - 16 - 간호학과(자연) - 16 - 인문 사.. 2023. 11. 15.
인물의 말하기 방식에 대해 알아보기 인물이 대화할 때, 자신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식을 인물의 말하기 방식이라고 합니다. 보통 말하기 방식은 인물 간의 대화 내용과 대화 양상에 따라 다양하게 나뉩니다. 오늘 블로그에서는 말하기 방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인물의 의도에 따른 분류 · 설득적 말하기 : 상대방이 자신의 주장에 동의하여 따르도록 자신의 주장을 이해시키는 말하기 · 논리적 말하기 : 자신의 생각을 이치에 맞게 조리 있게 전달하는 말하기 · 감정에 호소하는 말하기 : 다른 사람이 어떤 일에 참여하도록 인정에 호소하거나 감정을 자극하며 하소연하는 말하기 · 상황을 합리화하는 말하기 : 어떤 일의 과정에서 생긴 잘못이나 오류에서 벗어나기 위해 그것을 정당화하는 말하기 2. 의사 전달의 직접성에 따른.. 2023. 11. 14.
시상 전개 방식 알아보기 시상이란 시에 담긴 시인의 생각이나 정서를 의미하는 것으로, 시인은 이러한 시상을 일정한 질서에 의해 한 편의 시로 조직하는데, 이를 '시상의 전개'라고 합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시상의 전개 방식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시상이란? 시에 담긴 시인의 생각이나 정서 시상 전개 방식 선경후정 · 사물 또는 풍경을 보여 준 다음 시적 화자의 정서를 표출하는 방법 시간의 흐름 · 시간이나 계절의 흐름에 따라 시상을 전개 공간(또는 시선)의 이동 · 먼 데서 가까운 데로 혹은 위에서 아래로 등과 같이 시선을 옮기면서 시상을 전개 연상작용 · 하나의 시어(소재)가 지닌 의미나 이미지를 이와 관련된 다른 관념으로 이어받아 꼬리에 꼬리를 무는 형태로 시상을 전개 수미상관 · 시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동일하거나 비슷한 시.. 2023. 1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