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자료/문학개념

2025수능특강 문학 고전시가 사모곡 알아보기

입시 가이드 2024. 7. 16. 14:30
반응형

사모곡은 어머니가 베풀어 주신 사랑에 대한 예찬과 감사의 마음을 표현한 고려가요입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사모곡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1. 작품감상

호미도 날이지마는

낫같이 들 리도 없습니다

아버님도 어버이시지마는

위 덩더둥셩

어머님같이 괴실 이 없어라

아소 님이시여 어머님같이 괴실 이 없어라

 

- 1~2행 : 호미보다 예리한 낫

- 3~6행 : 아버지의 사랑보다 더 깊은 어머니의 사랑

 

 

2. 주제 의식을 부각하는 다양한 표현 방식 : 은유, 비교, 반복

2-1) 은유

보조관념 원관념
호미 아버지의 사랑
어머니의 사랑

 

2-2) 비교

아버지의 사랑과 어머니의 사랑을 견주어 보면서 그 둘의 차이를 호미와 낫이라는 사물로 빗대어 표현함

 

2-3) 반복

'어머님같이 괴실 이 없어라'를 반복적으로 제시하며 어머니의 자식 사랑이 더 깊음을 강조함

 

3. 감상포인트

작자 미상의 고려가요로, 어머니가 자식에게 베풀어 주는 사랑에 대한 예찬과 감사의 마음을 진솔하고 표현하고 있다. 고려가요의 특징인 3음보 율격과 후렴구가 나타나지만 고려 가요의 일반적 형태와 달리 한 개의 연으로 되어 있다. 후렴구를 제외하면 시조와 형태가 비슷하며, 마지막 행 첫머리의 '아소 님이시여'라는 감탄 어구는 10구체 향가의 낙구와 유사하다. 호미와 낫 같은 농경 사회의 일상적 소재가 작품의 소재로 사용된 점, 짧은 길이에 단순한 형식으로 구성된 점 등으로 미루어 짐작할 때 농경 사회를 배경으로 한 농촌 민요였던 것으로 보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