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자료/문학개념

소설의 시점, 고전소설의 시점에 대해 알아보기

입시 가이드 2023. 11. 17. 11:04
반응형

시점이란 소설에서 이야기를 서술해 나가는 방식이나 관점을 말합니다. 시점은 서술자의 위치와 서술자가 인물의 내면 심리에 대해 얼마나 아는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인칭 주인공 시점

· 서술자가 작품 안에 주인공 '나'로 등장하여 자신의 이야기를 함

· 독자에게 신뢰와 친근감을 주며 주인공의 내면세계를 제시하는 데 효과적임

· '나'의 주관적인 시선에 의해 서술되기 때문에 '나' 이외의 등장인물들을 이해하는 데 제약이 따름

 

1인칭 관찰자 시점

· 서술자가 작품 안에 '나'로 등장하여 관찰자의 입장에서 주인공에 대하여 이야기를 함

·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지만, '나'의 눈에 비친 세계만 볼 수 있어 관찰의 기회가 한정적임

 

3인칭 관찰자 시점

· 작품 밖의 서술자가 등장인물들의 행동이나 심리를 관찰하며 이야기를 전달함

· 등장인물을 지칭할 때, 이름이나 '그, 그녀'와 같은 대명사를 씀

· 객관적인 태도로 외부 사실만 관찰하고 묘사하여 사건이나 인물에 대한 분석이나 평가는 독자의 판단에 맡김

 

전지적 작가 시점

· 작품 밖의 서술자가 사건의 내막, 인물의 내면 심리, 인물간의 관계 등을 모두 알고 이야기를 전달함

· 서술자가 모두 알고 자신의 관점을 담아 이야기를 전달하기 때문에 독자의 상상이나 참여의 기회를 제한할 수 있음

 

 

고전 소설의 시점의 특징

다양한 시점을 접할 수 있는 현대 소설과 달리 고전 소설은 주로 전지적 작가 시점만 두드러지게 사용됩니다. 특히 고전 소설 속 서술자는 인물의 성격이나 심리, 운명까지 모두 알고 있는 상태에서 독자에게 이야기를 재미있게 전해 주는 이야기꾼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