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자료/문학개념

고전소설 주제 특징 알아보기

입시 가이드 2023. 9. 21. 11:00
반응형

고전소설은 주제나 내용 전개에서 현대소설과는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고전소설의 내용상 특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1. 권선징악

· 선은 권하고 악은 징계한다라는 뜻이며, 고전소설은 이러한 교훈적인 주제의식을 지닌 작품이 많음

· 조선시대의 유교적 가치관이 반영된 것

· 고전소설에서는 선인과 악인의 구분이 뚜렷하고 둘의 대결에서 항상 선인이 승리함

· 흥부전, 콩쥐팥쥐전 등

 

2. 위국충절

· 나라를 위한 충성스러운 절개라는 뜻

· 나라와 임금에 대해 충성과 절개를 다해야 한다는 유교적 가치관이 반영된 것

· 전쟁이나 전란이 있었을 때 역사적 패배를 보상하기 위한 방편으로 강조되는 경우가 많음

· 나라에 충성하는 인물을 통해 군자나 선비의 올바른 처신 등에 대해 독자에게 교훈을 전달하는 효과

· 임진록, 박씨전, 임경업전 등

 

3. 공명사상

· 입신양명(몸을 바로 세워서 이름을 드날림)의 출세 의지를 형상화한 작품

· 주로 영웅 소설에 많이 나타남

· 유충렬전, 조웅전 등

 

4. 남녀간의 애정

· 자유연애 사상에 기반한 남녀의 결연담(만남-헤어짐-만남으로 요약되는 남녀이합의 과정을 다룬 이야기)이 중요한 서사임

· 조선 후기의 소설에서는 남녀 간의 애정을 중시함으로써 인간의 원초적인 욕망을 긍정하는 경향이 두드러짐

· 이생규장전, 운영전 등

 

5. 사회 비판과 풍자

· 당대의 사회 제도가 지닌 모순과 부조리를 비판하는 내용으로 주로 허균과 박지원에 의해 창작됨

· 판소리계 소설에서는 양반과 관료의 위선을 풍자하는 내용이 많음

· 홍길동전, 양반전, 배비장전 등

 

6. 가정의 화합

· 일반적으로 처첩, 형제, 동서 간의 갈등을 다루는 가정소설에서 가정의 화합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음

· 사씨남정기, 장화홍련전, 반씨전 등

 

7. 인생무상

· 인생에 대해 모든 것이 덧없다는 허무 의식(무상감)을 형상화한 작품

· 주인공이 명예와 이익의 부질없음을 깨닫고 속세를 벗어난다는 내용이 주로 나타남

· 용궁부연록, 구운몽 등

 

8. 개과천전

· 악인이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반성하여 착한 사람으로 다시 태어난다는 교훈적 주제

· 흥부전, 옹고집전 등

 

9. 근대적 가치관

· 조선 후기에 근대적 가치관을 추구하는 작품이 많아짐

· 평등주의에 바탕을 둔 여성해방과 신분제의 부정, 실학사상에 바탕을 둔 이용후생의 가치관 추구

· 예덕선생전, 장끼전 등

 

 

고전소설은 이야기가 주로 한 인물의 일생이나 역경에 집중되는 점, 선과 악을 대표하는 전형적이고 평면적인 인물들의 대립으로 이야기가 구성되는 점 등 현대소설과 구별되는 전형적인 특징들이 있습니다. 위에 제시된 주제들을 바탕으로 이런 고전소설의 특징을 감안하면서 학습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